목록전체 글 (48)
Flutter 개발 Story
Provider란? UI와 데이터 처리 로직 분리를 위해 사용하는 기술이다. 즉, 데이터를 담당하는 애가 다른 애들한테 데이터를 알려주는 기술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Provider는 데이터 생산과 데이터 소비, 2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를 어떻게 생산하느냐에 따라 Provider의 종류도 달라진다.) 믹스인 - dart에서 클래스를 확장하지 않고 다른 클래스의 메서드나 변수를 빌릴 수 있는 기술인다. 키워드 - with Provider를 사용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데이터를 생산하는 클래스를 만든다. - ChangeNotifier를 믹스인하는 클래스 ChangeNotifier는 Provider에서 setState없이 해당 기능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클래스로 notifyListener..
우리는 flutter를 개발하면서 State란 말을 많이 접하게 된다. 한국말로 번역하면 상태지만, flutter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쓰일까? State Flutter에서 state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데이터, APP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변화하는 데이터,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등이 이에 속한다. 그러면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은 각각 데이터가 없는 위젯과 데이터가 넘쳐나는 위젯을 의미하는 걸까? Flutter 공식 홈페이지에서 StatelessWidget - A widget that does not require mutable state. (api.flutter.dev/flutter/widgets/StatefulWidget-c..
InheritedWidget InheritedWidget은 flutter에서 Base class for widgets that efficiently propagate information down the tree라고 설명한다. 데이터를 트리 아래로 효율적으로 전파하는 위젯이라고 하는데, 잘 이해가 않간다. 그래서 구글링을 통해 InheritedWidget에대해 조사해봤다. 등장배경 - 기존에 위젯 트리내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코드가 지저분해졌다. 이랬던 구조를 InheritedWidget이 등장하면서 코드를 깔금하게 만들어줬다. 1. InheritedWidget을 상속받은 subclass를 생성한다. 2. data를 위한 filed를 추가한다. 3. of메서드를 추가한다.(of는 데이터를 참조하..